무빙-네임즈_Moving-names_이미지연구공동체 반짝_Image Research Community Banzzak

무빙-네임즈_Moving-names_이미지연구공동체 반짝_Image Research Community Banzzak

$0.00

이미지연구공동체 반짝 <무빙-네임즈 / Moving-names> 프로그램 소개

이미지연구공동체 반짝은 영화에 붙어 있는 이름-이미지에 대해 이야기한다. 영화가 시작되기 전과 후에 제공되는 ‘크레딧’은 흔히 감독, 제작사, 배급사, 배우, 제작진 등 한 영화를 둘러싼 배경을 하나의 ‘정보’로서 취급한다. 관객의 입장에서 영화의 크레딧 타이틀까지 보는 태도는 감독과 제작진에 대한 존중이기도 하나, 동시에 영화의 상징 자본의 문제를 드러내기도 한다. 오늘날 영화 산업에 막대한 자본이 투자되면서 프로덕션 전반에 관한 정보량은 비대해졌고, 크레딧 역시 더욱 길어지고 세분화되었다. (수백, 수천명의 이름이 쏟아져 나오는 헐리우드의 상업영화 크레딧을 생각해보라.) 하지만 넷플릭스, 쿠팡플레이, 티빙, 왓챠 등 OTT 서비스가 보편화되고 ‘오프닝 넘어가기’, ‘추천영화 바로가기’ 등의 버튼이 만들어지면서 크레딧 장면은 영화의 시간에서 삭제되고 있다. 러닝타임에 포함되지만 셈해지지 않는 시간. 반짝은 영화 크레딧을 중심으로 ‘크레딧’이라는 무빙-이미지의 계보학을 추적한다. 더불어 러닝타임이라는 영화의 내부에 속하는 시간으로서의 크레딧을 다룬다. 너무도 쉽게 누락되는 이미지이자 시간으로서의 이미지에서 무엇을 발견할 수 있을까?"

Image Research Community Banzzak talks about Name-Image attached to the film. 'Credits' provided right before or after the movie starts are often treated as 'information' that introduces the background surrounding a movie, such as the director, production company, distributor, actors, and production crew. From the audience's point of view, the attitude of sitting and watching a film up to the credits is linked to respect for the director and production team but reveals the problem of symbolic capital arising from the cinema. Meanwhile, credits are longer and more subdivided due to the increased amount of information about the overall production as huge capital is invested in the film industry today. (Think of Hollywood's commercial film credits pouring out hundreds and thousands of names) However, as OTT services such as Netflix, Coupang Play, Tving, and Watcha have become common, buttons such as 'skip opening' and 'go to recommended movie' deletes credit scenes along with the time of the movie. Time included in running time but not counted. Banzzak traces the genealogy of moving-images called credits with a focus on movie credits. In addition, it deals with credit as time belonging to the inside of the movie within the running time. What can we find in an image that is so easily omitted and an image as time?"

권태현 (Kwon Taehyun)

이미지와 정치에 대해 공부하면서 글을 쓰고 전시를 기획한다. 정치적인 것을 감각의 문제로 파악하는 관점에 무게를 두고 비평 활동과 연구를 지속하고 있다.

While studying image and politics, he writes and curates exhibitions. He continues his critique and research, focusing on the viewpoint of understanding the political as a matter of the senses.

박시내 (Park Sinae)

미술이론을 전공했으며 여러 기관을 떠돌며 미술계 노동자로 일한다. 이미지 정치와 유통에 관심으로 관련 연구를 간헐적으로 진행하며 종종 글을 쓴다.

Majoring in Art Theory, she works as an art-worker in various institutions. With an interest in politics and distribution of images, she conducts intermittent research and writes frequently.

이민주 (Lee Minjoo)

서양화와 미술이론을 전공했다. 이곳 저곳에 글을 기고하면서 전시를 꾸린다. 이미지가 만드는 사건과 기록성에 주목하며 비평적 글쓰기를 고민한다.

She majored in Western Painting and Art Theory. She curates exhibitions and writes articles in various fields. She considers critical writing, paying attention to the events created by images and the documents that images make.

Quantity:
Add To Cart